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3

복날 어원 뜻 의미 역사 복날의 어원, 뜻, 의미는?복날은 음력 6월~7월 사이의 절기로 초복, 중복, 말복 이렇게 3일을 가리킵니다. 하지로부터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 후 첫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 하며 이를 삼복(三伏) 혹은 삼경일(三庚日)이라고 해요. ​ 복날의 복(伏)자는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입니다. 오행에서 여름은 불(火)에 속하고, 가을은 쇠(金)에 속하는데,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세 번 굴복한다."라는 뜻으로 복종한다는 뜻의 복(伏)자를 썼다고 합니다. ​ 복날의 역사 초복·중복·말복을 가리키는 삼복은 중국 진나라 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라는 책을 보면, 진나라 덕궁이란 사람이 사대문 밖에 개고기를 걸어두고 복사(伏祠)를 처음 시.. 2024. 7. 15.
한글이 기역(ㄱ)부터 시작하는 이유 훈민정음 파스파문자 한글이 기역(ㄱ)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영어 알파벳은 A부터 시작합니다. 알파벳이 A부터 시작된 배경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알파벳은 고대 세미틱 언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 언어 중 하나인 페니키아어는 기원전 15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이 언어의 문자가 현대 알파벳의 기원이라고 여겨집니다.즉 페니키아어 알파벳의 첫 글자는 ‘알레프(Aleph)’이었고, 이 글자는 소리 없는 글자로 ‘A’와 비슷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알파벳이 그리스어로 전이될 때도 ‘알파’(Alpha)가 첫 글자였습니다. 그리스 알파벳에서 파생된 현대 알파벳에서 ‘A’는 아마도 그리스어 알파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봅니다. 그렇다면 세종대왕이 만드신 훈민정음, 한글이 기역(ㄱ)부터 시작.. 2024. 7. 12.
간발의 차이 간발 뜻 "간발의 차이"라는 말에서 "간발"의 뜻은 무엇일까요? "간발"의 차이로 우승하였다. 이런 말을 종종 합니다. 여기서 "간발"은 어느 정도의 차이를 말하는 것일까요? 간발(間髮)은 사이를 나타내는 ‘사이 간(間)’자와 머리털 한 가닥을 뜻하는 ‘터럭 발(髮)’자로 되어 있습니다. ‘터럭’이란 가느다란 털 하나를 말합니다. 그러니까 머리카락 한 올 정도의 사이나 틈을 ‘간발’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즉 ‘간발의 차’는 머리털 한 올 정도의 차이라는 뜻입니다. 2024. 7. 11.
타인의 판결문 사본 제공 열람 복사 신청 방법(2013년 이전 확정된 형사사건, 2015년 이전 확정된 민사, 행정, 특허사건) 2013년 1월 1일 이전 확정된 형사 사건의 판결문과 2015년 1월 1일 이전 확정되거나 2023년 1월 1일 이전 선고된 민사·행정·특허 사건 판결문을 보고 싶다면 판결서사본제공신청(https://www.scourt.go.kr/portal/decide/DecideMain.work)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됩니다. 수수료는 1건당 1,000원입니다.  만약 2013년 1월 1일 이후 확정된 형사 사건의 판결문과 2015년 1월 1일 이후 확정되거나 2023년 1월 1일 이후 선고된 민사 · 행정 · 특허 사건 판결문을 열람하려면 아래를 참조하세요. https://mmttgr1.tistory.com/entry/%ED%83%80%EC%9D%B8%EC%9D%98-%ED%8C%90%EA%B2%B0%EB%AC%B.. 2024. 7. 8.
반응형